언론에 비친 연구소

국내외 경제이슈를 분석하고 가계의 경제적 판단을 도와드립니다.

[뉴스웨이] 경제전문가 “미국 금리인상 한국경제 악영향 크다”

#국제경제 2015-02-12

미국 금리 인상 여파는 한국 경제에 제한적일 것이라는 정부의 입장이 장밋빛 전망에 그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미국 금리 인상 이후 신흥국 자본 유출에 따른 경제 위기가 한국 경제에도 전염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지난해 양적 완화를 종료한 미국이 올해 상반기 금리를 인상하면 한국 경제에 위협 요인으로 다가올 수 있다고 내다봤다. 신흥국의 외국인 투자자금 이탈에 따른 외환시장의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우리나라로 옮겨붙을 수 있다는 것. 

오정근 건국대 특임교수는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면 일차적으로는 외환시장이 불안한 신흥국의 자본이 빠져나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라며 “태국동남아시아의 자본이 빠져나갈 경우 우리나라도 안전한 지역이라고 볼 수 없다. 전염될 수 있다”고 봤다. 

오 교수는 “우리나라 경제가 침체할 경우 전염효과는 더 커질 것”이라며 ”거시경제 안정성이 중요한데 현재 흐름이 좋지 않아 우려된다”고 말했다. 

선대인 경제연구소 소장은 “돈의 힘에 많이 기댔던 나라일수록 양적 완화가 끝내는 과정에서 통증이 클 것”이라며 “한국경제가 대내외 상황 변화에 취약한 구조이기 때문에 리스크가 적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선 소장은 “미국 기준금리가 인상될 경우 외국 자본이 상당 부분 빠져나가면서 한국의 주가환율, 시장 금리가 요동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반면 일각에서는 미국이 금리를 인상해도 과거 외환위기처럼 직접적인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세계 각국의 통화정책이 엇박자를 내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의 금리인상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설명이다.  

신민영 엘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금리 격차가 어느 정도 있는 상태라 우리나라에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외환 보유고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파급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장보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경제연구실장은 “각국의 통화정책이 엇박자가 나고 있는 상황이라 과거만큼 직접적인 영향은 없을 것”이라며 “미국 연준이 금리를 인상하는 것은 긴축이라기보다 통화정책 정상화 차원이라 금리를 올린다고 하더라도 인상 폭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9일(현지시간)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및 중앙은행 총재회의 참석차 터키 이스탄불을 방문한 자리에서 “한국 채권은 다른 신흥국과 차별화되고 있고 앞으로도 차별화를 보일 것”이라며 “이미 1년 전부터 미국의 금리 인상이 예상됐는데도 원화가 절상돼 자본유입이 이뤄져 미국의 금리 인상의 영향은 극히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사원문보기

실물경제로 확산되는 코로나19여파, 현황과 전망은?